달력

4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제목: 가상현실을 활용한 심리치료 콘텐츠 연구

Academic Conferences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2016.10, pp. 10-13

Posted by kingjung
|

제목: 가상현실에서의 정보은닉기법 적용 연구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2016 Summer Conference, pp. 1750-1753

Posted by kingjung
|
올해 화두로 스마트폰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인터넷의 등장이 우리의 삶을 바꾸어 놓았듯이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유ㆍ무선의 혁명을 가져오고 있다. 이 스마트폰용 프로그램 중에서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어플리케이션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그 모태가 되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이 녹생성장기술로 주목받으면서 다시 관심을 끌고 있다.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을 보면 차세대 기술혁명은 NT, BT, IT, ET, CT 등 신기술간 또는 이들과 타 분야와의 상승적 결합을 통한 융합기술이 주도할 것으로 보고 있는데, 체험형 모바일 혼합현실 시스템, 실감형 공간 지원 플랫폼, 공정 검증용 가상제조 시스템, 가상현실 콘텐츠 등이 전략품목으로 선정되었다. 산업 간의 IT 융복합기술 측면에서 보더라도 자동차, 조선, 건설, 항공, 의료 산업 등에서 녹색기술과 IT 융복합 측면 모두에서 가상현실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할 것이다. 또한, 국방 분야에서도 미래유망 국방 IT 기술에 가상현실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선정함과 동시에 모델링과 시뮬레이션(M&S) 또한 유망기술로 선정하였다. 또한, 예로부터 놀이문화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었듯이 컴퓨터를 이용한 게임은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으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성장으로 대학에서도 게임 관련 학문이 지속적으로 생겨나고 발전하고 있으며, 문화산업과 결합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부가가치를 배가시키는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렇듯이 삶의 질이 높아질수록 엔터테인먼트 관련 산업이 발전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가상현실과 게임 산업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고, 앞으로 그 비중이 점점 더 늘어날 것이다.

녹색기술동향보고서 2011년 제1호, p.167~176, 2011년
http://www.gtnet.go.kr/

Posted by kingjung
|
국방과학연구소, 2001년
Posted by kingjung
|